티스토리 뷰

이미지 출처 : 본인 제작

연산 장치는

i) 보수기

ii) 데이터 레지스터

iii) 가산기

iv) 누산기

v) 오버플로우 검출기

vi) 상태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 보수기

가산기에서 뺄셈은 불가능하므로, 보수기에서 빼는 수를 보수로 바꾸어줍니다. 

Ex> 100 - 30을 100 + (-30)으로 바꿔주는 역할


ii) 데이터 레지스터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나 결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iii) 가산기

보수기와 누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더하여 누산기에 저장해줍니다.


iv) 누산기

주기억 장치로부터 연산할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거나 가산기로부터 연산 결과를 받아 저장합니다.


v) 오버플로우(overflow) 검출기

결과가 레지스터의 용량보다 커서 저장할 수 없을 때,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줍니다.


vi) 상태 레지스터

결과의 상태(자리 올림, 오버플로우, 연산 결과가 양수 또는 음수 또는 0인지)를 나타냅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